2017년 3월 23일 목요일

[제54대 총학생회 정책토론회] 제54대 총학생회 후보 '다-함께' 정책토론회 열려

사진제공: <연세춘추> 사진부 

사진제공: <연세춘추> 사진부




지난 3월 21일과 23일, 신촌캠퍼스와 국제캠퍼스에서 제54대 총학생회 선거의 단일 선본 <다-함께>의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언론출판협의회(아래 언협)이 주최한 이번 정책토론회에는 제54대 총학생회 선거의 단일 후보인 <다-함께> 선본 (정후보 강기백(사복 4), 부후보 양혜선(심리 3))과 언협에 소속된 △<연세교육방송국(이하 YBS)> △『The Yonsei Annals(이하 애널스)』 △<연세인터넷라디오방송국>(이하 YIRB) △『연세』 △『연세두리』 △『문우』 △『상경논총』 △<연세춘추>가 참여했다.

21일 저녁 8시, 송도2학사 치킨계단에서 진행된 국제캠퍼스 정책토론회에는 제54대 총학생회에 출마하는 선본 <다-함께>와 언론사 △춘추 △YBS △애널스, 선본원과 국제캠퍼스 학생들이 참여했다. 국제캠퍼스 정책토론회는 열어가는 말, 정책토론회의 구성 소개, 선본 소개, 언론사 질의응답, 플로어 질문의 순서로 진행됐다. 국제캠퍼스 정책토론회에선 정책자료집을 바탕으로 <다-함께>가 내건 공약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뤘다. 그 외에도 △총학생회의 재정 위기나 △선본이 표방하고 있는 ‘사회참여적 비운동권’의 의미에 대한 깊은 대화가 오갔다.

23일 낮 12시 학생회관 앞에서 열린 신촌캠퍼스 정책토론회에는 선본과 언협 소속 9개 언론사의 대표들과 신촌캠퍼스 학생들이 참여했다. 신촌캠퍼스의 정책토론회 역시 국제캠퍼스 정책토론회와 마찬가지로 열어가는 말, 정책토론회 구성 소개, 선본 소개, 언론사 질의응답, 플로어 질문의 순으로 진행됐다. 신촌 정책토론회에선 <다-함께> 선본이 제시한 △교육권 공약의 현실성, △성소수자 관련 공약, △총여학생회와의 연계 △공약사업 협의체와의 소통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뤘다.

문우 편집장 김현준(khjson@yonsei.ac.kr)

[제54대 총학생회 정책토론회] 신촌캠퍼스 언론사 패널 질의응답

사진제공: <연세춘추> 사진부

   3월 23일 낮 12시, 신촌캠퍼스 학생회관 앞에서 제54회 총학생회 선거의 정책 토론회가 진행되었다. 출마한 선거본부는 <다-함께> 한 곳이었고 연세춘추, YBS, 애널스, 상경논총, 엷 등 총 9개의 언론사 패널들이 참석해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YBS> 자료집을 보면 '인기 분야와 비인기 분야의 강의 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하겠다'고 되어있다. 그런데 인기 분야와 비인기 분야를 어떤 기준으로 나누겠다는 건지 그리고 교직원을 배치하는 데에도 학교와 협의가 필요한데 이와 관련해 <다-함께>의 계획을 듣고 싶다.

   <다-함께> 선본에서 인기 비인기 과목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은 특히 교육권과 관련된 부분이기 때문에, 선본이 임의로 강의를 구분해 나누는 경우에 실제로 학생들이 (강의를) 원하지만, 수가 적어 듣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권 TFT 팀을 만들어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기준을 만들고, 그 기준을 토대로 학교와 논의할 것이다. 인기 과목과 비인기 과목이 학점 인플레와 이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하기 어렵다. 학생들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된 이후에 학교 측과 논의를 하는 것이 지금 선본이 어떤 기준을 제시하고 이대로 할 것이라 말하는 것보다 더 안정적이고 포괄적일 것이다.

   <015B> 재수강 완화 공약에 대해 기존 총학들과의 <다-함께>만의 차별성이 무엇인가. 또한, 교양 수업 전면 절대평가는 좋은 목표라고 생각하는데 학교와 논의 중인지 구체적인 실현 방법이 있는지 궁금하다.

   <다-함께> 학교는 이미 재수강을 고친 선례가 있다. 학교는 스펙 경쟁을 막을 것이라며 재수강 폐지를 주장했다. 하지만 이것은 교육 관련 대학을 감축시키기 위한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당시 기사에 따르면 연세대 평균 재수강 신청 비율은 약 9%, 250~270여 개의 과목이 개설되는데, 이것은 교육권 보강의 문제임을 인지하고 학교에 지속해서 요구할 것이다. 절대평가에 대해서는 다른 대학 사례를 고려한다면, 우선적으로 총장님이 절대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절대평가를 시행했을 때, 학점이 상승한 선례를 들어 총장님과의 논의 지속할 것이다.

   <상경논총> 자료집을 보면 강의평가가 별다른 개선이 없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유명무실하다고 나와 있다. 강의평가가 유명무실한 근본적인 이유는 교수님들이 강평자의 신원 파악을 할 수 있다는 학생들의 우려가 있어서 솔직하게 답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 이에 대한 조치가 우선적으로 있는지 궁금하다. 또한 타임테이블의 한 줄 강의평의 경우에도 저작권 문제 때문에 세연넷으로의 이전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주관식 문항들 공개에도 비슷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고 보이는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궁금하다.

   <다-함께> 학교의 강의평가가 유명무실한 이유가 신원 파악에 대한 우려라는 것에 대해 공감한다. 그러므로 교수님들에 대해 인터뷰를 하기도 했고, 학생들에게 인터뷰하기도 했으나 교수님으로부터 학생들을 일일이 구분하기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다. 개인정보가 우려되는 이유는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동의를 거치지 않아서라고 생각한다. 그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주관식 문항을 공개해도 괜찮나요, 라는 체크박스를 만들 예정이다.

   <애널스> 자료집의 “전도에도 예의가 필요해” 정책을 보면 교목실로부터 검증된 단체만 포교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고 되어있는데, 이런 교목실로부터 검증된 단체는 어떤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것인가? 그리고 검증된 단체라 하더라도 전도활동으로부터 학생들이 겪는 불편함은 어떻게 해소할 것이고, 비검증 단체가 캠퍼스에서 무단으로 전도 활동하는 것은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다-함께> 총학생회는 종교를 지지하거나 억압해서는 안 된다. 포교 기준은 학내 여러 항의에 의해 교목실 내규를 제정해서 1년 이상 연세대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활동한 검증된 단체를 교목실에서 인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총학이 어떠한 종교를 지지하거나 억압하지 않는다. 학생들이 실제로 교목실에 이러한 기준이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신고를 받고 있고, 신천지에 대한 대안 모색도 이미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총학생회는 허락하는 것이 아니라 신고 절차에 대해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연세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 YIRB 국장 이혜인

[제54대 총학생회 정책토론회] 국제캠퍼스 언론사 패널 질의응답




3월 21일 오후 9시 10분, 국제캠퍼스 치킨 계단 앞에서 제54대 총학생회 선본 <다-함께>에 대해 학내 언론사들이 준비한 질의응답이 진행되었다. 이날 정책토론회 질의응답 언론사 패널에는 <연세춘추(이하 춘추)>, <연세교육방송국(이하 YBS)>, <The Yonsei Annals(이하 애널스)>가 참석했다.

춘추_연세기독학생연합회 전 대표라는 이력 때문에 종교적 중립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총학생회장이 되었을 때, 종교적 중립을 지킬 수 있는가?

다-함께_총학생회는 모두를 위한 학생회이다. 우리는 특정 종교를 지지하거나 억압하지 않을 것이다. <다-함께>는 총여학생회(이하 총여), 총동아리연합회 및 모든 단과대 등 여러 학내기구와 소통해, 인권 문제를 해결하고, 소수자와 약자를 위한 정책을 펼 것이다.

애널스_여성과 성 소수자가 소수자 정책에서 배제된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단톡방 성희롱 사건’을 언급했지만, 이에 대한 공약이 없는 이유가 궁금하다.

다-함께_우선, 학내 학우들의 인권과 관련된 모든 사안과 관련해 총여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소통할 것임을 밝힌다. 단톡방 성희롱 사건과 관련해서는 ‘선진문화를 위한 자치규약’ 제정을 통해서 문제의식을 느끼도록 할 것이다. 피해사례를 1학기에 수합하고, 2학기에 확운위와 중운위에서 논의를 거친 후에 전 단과대에 적용 가능한 자치규약을 정하도록 하겠다.
 여성과 성 소수자를 소수자 정책에 명시하지 않은 이유는 총여와 협력하기 위해서이다. 몇 년간 총학은 교육권 등의 보편적인 권리에 대해 이야기해왔고, 총여는 여성, 성 소수자와 관련된 공약을 만들었다. 따라서 여성과 성 소수자의 권리와 관련된 공약은 총여에 맡기고, 그 이외의 부분들은 총학이 준비할 것이다.

YBS_셔틀버스 노선에 대해 학교의 강경한 입장이 몇 년째 계속되고 있다. 학교 측에 어떻게 대응하고 협의해 나갈 것인가? 또한, 국제캠퍼스 셔틀버스 증차와 관련해서 어떻게 협력해서 버스를 확충해 나가는 등의 구체적 계획이 있는지 궁금하다.

다-함께_ 당선 후 어떤 노선이 더 나은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해 학교에 전달할 것이다. 국제캠퍼스 셔틀버스는 아직 우리가 총학이 아니기에 협의를 사전에 진행하지 못했다. 셔틀버스 확충은 가능한 많은 양의 증차가 목표다. 논의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에, 지금 구체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애널스_장애 학우들을 위한 각종 설비 구매를 집행하기 위한 예산 등 현실적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또한 국제캠퍼스에 거주하는 장애 학우를 위한 공약은 무엇이 있는가? 더불어 학내 인권 감수성을 증진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할 것인지 듣고 싶다.

다-함께_학교는 교육비와 관련된 예산을 줄이고, 홍보비 등 소모성 경비를 늘리고 있다. 우리는 학교 측에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것이다. 장애인권위원회 위원장에게 학내 강의실 중 경사로가 필요한 곳은 10개 정도라고 들었다. 현 예산으로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 규모라고 생각한다. 국제캠퍼스에 거주하는 장애 학우를 위해 셔틀버스 증차 시 저상버스를 도입할 것이다. 또한 장애 학우는 HE 수업 중 운동수업처럼 활동성이 많은 수업은 참여할 수 없다. 장애 학우가 수강할 수 있는 HE 수업을 만들겠다. 학내 장애 인권 감수성은 장애인권위원회와 협력하여, 자치규약을 제정해 높이도록 하겠다.


연세편집위원회 편집장 이민경
dlalsrud0302@gmail.com

[제 54대 총학생회 정책토론회] 플로어 질의응답

  
3월 23일 신촌 캠퍼스에서 이루어진 플로어 질의에 여러 학우가 참여해 주었다. 언론사들의 질의가 끝나고 플로어 질의가 시작되자 끊임없이 이어지는 질문들은 연세의 구성원들이 이번 선거에 얼마나 많은 관심이 있는지 잘 보여주었다. 이들은 주로 소수자 배려와 소통에 관해서 언론사들이 미처 언급하지 못한 부분들을 질문해 주었다.

   첫 번째 질문자(의예과)는 본인 스스로가 장애 학생임을 밝히며 <시너지>와 <콜라보> 등 이전까지의 총학들이 모두 장애 학생들과의 소통의 문제가 있어 정책적 지원 등이 미비했는데 소통에 있어 구체적으로 어떻게 노력할 것인지 물어보았다. 이에 선본 <다-함께>는 소통을 위해서라면 타 선본의 집행부원으로 들어갈 생각이 있을 정도로 소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한 뒤, 좀 더 장기적으로는 중운위, 학교운영위원회와의 협의를 거쳐 사회적 약자 학우들과 소통을 전담할 소수자복지국을 만들고 싶다는 답을 하였다.

   이어서 두 번째 질문자는 공약집에 여성정책이나 성소수자 정책이 빠져 있음을 들며 그 이유를 물었고, 두 번째로는 총여와의 협력, 역할 분담이 어느 정도로 합의되어 있는지 질문하였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다-함께>는 성소수자 대표 및 총여와 만났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는 점을 언급함과 동시에 촉박하게 정책 자료집을 만드는 과점에서 빠진 점을 인정, 사과하였다. 다음으로 총여와의 역할 분담에 대해서는 아직 선본의 입장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합의한 점은 없으나 이전부터 협력의 기조가 있었고 그에 걸맞게 활동할 것이라 대답하였다. 이어서 협력의 정도가 어느 정도일지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달라는 추가 질문에는 보궐선거이기 때문에 실제로 일을 할 기간이 6개월 정도로 짧다는 점을 들며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보다는 소극적 협력이 현실적이라는 답을 주었다.

  본인을 지음 대표라고 밝힌 다음 질문자(교회음악과)는 공약 중 지음과의 협력 강화와 관련해 지음은 전달받은 바가 없다며 소통을 강조한다고 하였으나 소통을 안 하는 점에 대해 의문점을 드러내었다. <다-함께>는 공약을 만드는 과정에서 소통에 미숙함이 있었음을 인정하였고 부끄럽더라도 이를 기록으로 남겨 이후의 선본들이 이와 비슷한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하였다. 이어 십시일밥 활동에 있어 학부처와의 소통, 생협과의 소통을 도와주고 싶다는 측면이었지 본인들이 제시한 방향으로 십시일밥 활동에 제한을 걸려는 생각은 전혀 없었다는 점을 말하였다.

   다음 질문자는 채식주의자에 대한 공약이 얼마만큼 현실성이 있는지 의문을 드러내었다. 대량 조리 시스템에서 특정 재료를 빼고 조리가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채식주의자를 위한 메뉴 확충을 위해 생협과 협의가 이뤄진 바가 있는지 물어보았다. 이에 대해 <다-함께>는 생협이 기본권 단체가 아닌 복지증진과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집단이라는 점을 들며 연대 내 채식주의자 모임이 100명을 넘지 않는 상황에서 채식식단을 꾸리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그러나 어렵다고 해서 가만히 있기보다는 무엇이라도 시도를 해 보는 것이 변화의 시작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채식주의자들을 위한 공약이 현실성이 다소 떨어져 보일지라도 공약으로 내었다고 답하였다.

   마지막 질문자(신학과)는 각 단과대와의 협력 강화 방안으로 공약집의 한 페이지를 할애하였는데, 정작 신학과 학생회 활동 중인 본인과 신학과 학생회는 이에 관해 어떤 내용도 전해 들은 바가 없다면서 소통의 부재에 대해 지음 대표와 마찬가지로 의문을 품었다. <다-함께>는 아직 선본의 입장으로 특정 단과대 학생회와 긴밀하게 움직이는 등의 모습은 특정 단과대가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등 공정한 선거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굉장히 조심스러웠다고 답한 뒤 소통이 부족한 점은 인정, 사과하였다. 이에 질문자는 선거의 중립성 문제를 떠나 정책 자료집을 만들 때 적어도 서로 간의 의사 교환은 하고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소통하는 면에 있어 신경을 써주길 바란다며 말을 마쳤다.

   한편 21일에 있었던 국제캠퍼스의 정책토론회에서는 총학의 재정위기 상황에 대해 질문이 있었다. <다-함께>는 이에 대해 원론적인 답이긴 하지만 학생회비 납부와 관련하여 캠페인을 벌이거나 후원처를 마련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대동제나 여러 사업 등에 대해 목적 취지를 말하고 후원을 바라고, 기업의 간접적인 광고 등으로 후원을 받는다면 전반적인 해결은 못 하더라도 어느 정도 재정위기 해소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겼다.

   지면상 모두 다 언급은 못 하였으나 이 외에도 수강신청 제도와 대동제와 관련한 질문 등 여러 질문이 있었다. 학교의 주인으로서 본인들을 대표할 후보가 어떤 공약을 내걸었는지 꼼꼼히 읽어보고 궁금한 점을 물어보는 연세 학우들이 이번 정책토론회의 주역이었다고 생각한다.


상경논총 편집장 김주완
Etre1224@gmail.com

[제 54대 총학생회 정책토론회] Yonsei Student Union Election: Year 2017

     This year, a single candidate, <All-together>, boldly stepped up for the Student Union election. The school was already in a dire need for a student union that would work assiduously to improve the students’ lives on campus. The seat for the Student Union has been absent for quite some time, as last year exceptionally lacked a student union candidate that would voice the student’s needs. However, students still had questions of how capable this year’s candidate would be in performing the role as Student Union. The students voiced some of their concerns during the Election Debate that was held in March 21st at Songdo International Campus and during the Sinchon Campus Election Debate in March 24th.


54th Student Union Candidate, <All-together>
- Presidential candidate: Kang Ki-baek (Senior, Dept. of Social Welfare)
- Vice presidential candidate: Yang Hye-seon (Junior, Dept. of Psychology)
<All-together>’s pledges focuses on demanding and restoring students’ education, living, dwelling, and cultural rights. The student union candidate also asserted that they would ensure the rights for minorities at Yonsei Univers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RC education provided in Songdo.


Education Rights

 To restore education rights for Yonsei University students, <All-together> asserted that they would alleviate the repeated course limitation, demand absolute grading for common curriculum courses, improve the mileage course registration system, and ensure course withdrawal for seasonal sessions. They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in working with the Tuition Review Committee for the reduction of the costly tuition fee that many students struggle to pay. Here are some of the other pledges that fell under the category of ensuring education rights:
- Requesting for University self-evaluation results report
- Improving course evaluation
- Providing e-learning for students during their military services

Living Rights
 To improve students’ lives on campus, some of the pledges <All-together> has come up with are:
- To prevent coop reduction
- To secure space on campus for student use
- To install a cooperative purchase system for self-boarding students, that allows students to purchase food at a cheaper price
- To provide a campus map

Dwelling Rights
The limited space availability in dormitories, as well as their high prices, has always been an issue for students. <All-together> has promised to address these issues mainly by:
- Revealing and lowering the cost standard for private dormitories
- Expanding the scope of dormitory scholarships to include more students in need
- Upgrading the dwelling support servince, “Jib-bosaem,”

Cultural Rights
Some of the pledges that <All-together> has come up with hopes to improve our community by:
- Showing transparency in finance from autonomous student organization including the Student Union
- Forming Daedongjae into an event that everyone could enjoy
- Delivering students’ opinions through office hours with the President of Yonsei
- Clarifying smoking areas

RC Education
<All together> hopes to improve the residential college education through:
- Activating the international campus student representative committee
- Improving use bylaws and penalty criteria for Songdo Dormitories
- Normalizing international campus bus operation


     Mentioned above are only some of the pledges that this candidate has mentioned. <All-together>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the needs of minorities and thus asserted that they would install policies to support the low-income students on campus, ensur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disabled students, provide vegetarian meals in the cafeteria for vegetarians/ vegans, and welcome foreign students as part of the Yonsei community. However, their policies for minorities were very controversial during the election debate, as their policies did not include women or the members of the LGBTQ community. In response to this controversy, the president of <All-together> replied that they did not mean to exclude any student members, but tried to differentiate their roles with those of the Female Student’s Union. <All-together> expressed that they fully intend to collaborate with the Female Student’s Union to address the issues that women and sexual minorities face. The Election Debate remained heated as some questioned the possibility of some of their pledges becoming realized. However, <All-together> stated their opinion that even though some pledges may be difficult to be actualized in the near future, it is important to consistently voice the students’ needs until it is heard by school.


Kim Yeon-seung, editor-in-chief
Yeonseungkim@yonsei.ac.kr

[제 54대 총학생회 정책토론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장 인터뷰

1. 보궐선거인만큼 어깨가 무거우실 것 같습니다. 어떤 부담감이 있으신가요?

-> 보궐선거가 가지는 한계와 단점이 많은데요. 첫 번째로는 선거 비용을 들 수 있습니다. 매년 11월에 일괄적으로 선거가 진행되면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만 생기는 건데, 3월에 선거를 다시 한 번 진행하게 되면 예상치 못한 지출이 일 년 기준으로 가는 학생사회 예산에 편성이 됨으로써 모든 학생사회에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학생사회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가시화된다는 점입니다. 요새 학생사회의 관심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학생회 체계는 학생 사회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임은 명백한데 말로만 떠들고 있는 학생 사회에 대한 무관심이 수치로 다가온다면 저 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회 체계에 속한 사람들의 부담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2. 단선이라 투표율이 잘 안 나올 거라는 예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또, 투표 독려를 위한 홍보방안이 있으신가요?

-> 아무래도 단선은 경선보다 선거운동 등으로 인한 파급효과가 학생들에게 전달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 점으로 인해 많은 분께서 투표율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주시고 계시는데요. 학생들이 진정으로 학생회를 잘 이해하고 생각한다면 투표율에 대해서는 제가 예측해서는 안 되는 범위라고 판단됩니다. 투표 독려는 어느 정도 이상으로 하게 된다면 선거에 대한 개입(매우 많은 주관적인 시선들이 있습니다)으로 비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홍보를 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3. 현재 총학생회 선거에 많은 관심이 몰리고 있습니다. 학우들이 선거에 어떻게 참여하고 즐길 수 있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가장 좋은 시간과 공간은 합동유세와 정책토론회라고 생각됩니다. 합동유세는 선거운동본부가 다 한자리에 모여 합동으로 유권자들에게 자신의 선본에 대해 홍보하는 가장 큰 수단이고, 정책토론회는 후보자들이 모두 모여 정책을 홍보하고 질의응답을 받는 만큼,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후보자, 선본과 유권자들이 많은 의사소통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4. 정책 토론회 소감을 부탁드립니다.

-> 국제캠퍼스 정책토론회 같은 경우에는 이번에도 매년 그러했듯이 유권자분들의 참여율이 높진 않았습니다. 국캠 특성상 신촌캠퍼스와의 거리감 때문에 홍보 부족, 흥미 부족 등 여러 이유를 들 수 있겠으나, 많은 학생이 참여해서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것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 아쉽습니다.
신촌캠퍼스 같은 경우에는 선본의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질문을 하는 학생들이 꽤 있었는데요. 후보자들을 자리에 모시고 직접 질의응답을 받는 만큼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5. 선거시행세칙이 달라진 부분이 있나요?

-> 2016년 11월 11일 개정된 선거시행세칙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6. 인터넷을 통한 투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시간과 공간 등 물리적인 제약을 벗어나기 위한 최선의 수단이 인터넷을 통한 투표입니다. 현재 몇 개의 타 대학에서도 사용하고 있는데요. 연세대학교 같은 경우에는 인터넷을 통해 본인인증을 할 수 있는 방식이 아직 없습니다 (몇 차례 요청해본 것으로 아는데 개인 정보상 협조가 불가하다고 답변을 받았습니다).



7. 총학생회 선거가 연세대학교에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 연세대학교는 서울에 있는 대학 중에 총학생회 선거가 매우 활발한 대학교 중 하나입니다. 선거시행세칙에 근거하여 민주적으로 직접 선거를 통해 총학생회를 선출하기 때문에 선배님들께서 이룩해주신 민주주의의 의미를 이어 나가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연세두리 편집장 홍찬
hongsterulz@gmail.com

[제 54대 총학생회 정책토론회] 말말말





“실현 가능성이 낮아도 해야 하는 일이 있습니다.”
총학 선본 <다-함께>, 기숙사, 교육권 등에 대한 답변 중 일부


   이번 정책토론회에서 가장 많이 나온 질문은 정책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것이었다. 그때마다 총학의 답변은 “총학생회의 역할은 실현 가능한 일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불가능해 보이더라도 꼭 해야 하는 일들에 집중하는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이에 덧붙여 “학교에서도 공약집을 보게 된다. 그래서 공약은 학교에 미리 총학생회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을 알리고 경고하는 의미도 있다”라고 말했다. 

   학생회 선거가 있을 때마다 계속 등장하는 질문이 ‘과연 실제로 할 수 있느냐’이다. 우리 모두 그동안 수많은 학생회의 훌륭한 공약이 공허한 외침으로 남는 것을 수차례 보아왔기 때문일 것이다. <다-함께> 선본 역시 그러한 의구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총학이 실현 가능성에 얽매여 미시적인 공약들만 내건다면, 교육권이나 기숙사 같은 커다란 변화들은 우리에게 먼 것으로만 남아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실현이 어려운 과제를 왜 공약화했냐는 지적으로부터는 자유로울 수 없다. 향후 정책토론회에서 제기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로드맵 마련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보인다.





“총학이 특정 종교를 지지하거나 억압해서는 안 됩니다.”

총학 선본 <다-함께>, 전도활동 가능 단체 규제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 중 일부




   이번 <다-함께> 선본에 대해 일부에서 우려하는 지점이 ‘종교색’이다. 정 후보, 부 후보를 비롯해 선본 중 다수가 기독교 계열 단체 소속이라는 이유에서다. 후보와 선본원의 신자 여부와 그것이 어떤 종교인지가 정치적 정당성에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런 부분이 공약에까지 반영된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정책토론회 현장에서 <다-함께> 선본의 공약 중 “전도에도 예의가 필요해” 정책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이 정책은 교목실로부터 검증된 단체만 포교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교목실의 검증 기준, 또 검증된 단체라 하더라도 전도활동 자체가 학생들에게 주는 불편함 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다-함께>는 “총학이 특정 종교를 지지하거나 억압해서는 안 된다. 교목실의 기준은 종교를 심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항의로 인해 내규를 지정하고, 1년 이상 연세대 학생들로 구성된 학생 활동을 한 단체를 인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총학이 직접 나서겠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도 이루어지고 있는 이러한 교목실의 활동에 대해 학생들이 알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라고 밝혔다.

   <다-함께>의 답변을 통해 총학이 직접 나서겠다는 것이 아니며, 학생들의 알 권리를 위한 것이라는 점은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렇다면 굳이 공약으로 내걸 만한 사안이었는지는 의문이다. 또한, 해당 공약은 마치 총학이 전도 활동을 규제하겠다는 것처럼 읽힐 소지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유권자들의 우려가 있는 상황 속에서, 더욱 신중하게 공약을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는 아쉬움이 든다.


『연희관 015b』 부편집장 화영
transverso@daum.net

[제 54대 총학생회 정책토론회] 칼럼 | 소통의 상대성



소통은 일방적일 수 없다. 상대방이 의사소통에 불만을 느낀다면, 다른 한쪽의 노력에 상관없이 그 소통은 문제가 된다. 소통 자체가 상호성을 전제로 하므로, 당사자 모두가 만족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소통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이번 정책토론회를 관통하는 키워드 중 하나는 ‘소통’이었다. 플로어의 학우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온 질문은 ‘왜 정책자료집에 언급된 단체들(지음, 생활협동조합 학생위원회, 단과대 학생회 등)과의 소통 없이 일방적으로 공약에 단체와 관련된 정책을 넣었는지' 였다. 따뜻한 연세를 만들기 위해 <다-함께> 선본은 많은 노력을 했을 것이다. <다-함께>는 직접 다양한 소수자 단체와 학내에서 소외된 당사자들을 찾아가 소통하려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런 노력과 비교할 때 공약에 내세운 다른 단체들과의 소통을 소홀히 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선본 내부에서 많은 논의를 했을 텐데 대상 단체와의 사전 논의나 허락 없이, 모든 학우에게 배포되는 정책자료집에 그 단체의 이름을 올렸다는 것은 그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이는 선본의 공약을 접하는 다른 학우들을 기만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함께>는 또한 대선후보, 인천시(국제캠퍼스 셔틀버스 관련 공약) 등 공약 실현을 위해 협력이 필요한 단체들과 사전에 공약에 관해 이야기하고 협상한 바 있는지 묻는 말에 아직 당선되지 않은 선본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선거의 중립성을 위해 미리 연락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물론 선본은 아직 연세대학교를 대표할 수 있는 총학생회가 아니며, 중립성을 위해 특정 선본에 유리하도록 사전 논의를 이끌어 가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이것이 곧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단체들과 충분히 합의하지 않고 공약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되지는 못한다. 미리 논의하는 것이 꺼려졌다면 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합의가 성립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 등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준비했어야 했다. 그러한 준비 없이 선본이라는 이유로 미리 합의하지 않은 것은 일종의 책임 회피이다.




소통은 상대적이다. 선본이 많은 노력을 했겠지만, 불만과 불편함의 목소리가 나왔다는 것은 <다-함께>의 소통에 부족한 점이 있었다는 의미이다. 완벽한 소통은 있을 수 없다, 다만 조금 더 귀 기울이고 발전하는 소통이 있을 뿐이다. 이번 정책토론회가 <다-함께>가 학우와 학내외 단체들과의 소통에 대해 조금 더 고민할 기회가 되길 바란다.



언론출판협의회 의장 정다솜
sommy322odd@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