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현 가능성이 낮아도 해야 하는 일이 있습니다.”
총학 선본 <다-함께>, 기숙사, 교육권 등에 대한 답변 중 일부
이번 정책토론회에서 가장 많이 나온 질문은 정책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것이었다. 그때마다 총학의 답변은 “총학생회의 역할은 실현 가능한 일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불가능해 보이더라도 꼭 해야 하는 일들에 집중하는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이에 덧붙여 “학교에서도 공약집을 보게 된다. 그래서 공약은 학교에 미리 총학생회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을 알리고 경고하는 의미도 있다”라고 말했다.
학생회 선거가 있을 때마다 계속 등장하는 질문이 ‘과연 실제로 할 수 있느냐’이다. 우리 모두 그동안 수많은 학생회의 훌륭한 공약이 공허한 외침으로 남는 것을 수차례 보아왔기 때문일 것이다. <다-함께> 선본 역시 그러한 의구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총학이 실현 가능성에 얽매여 미시적인 공약들만 내건다면, 교육권이나 기숙사 같은 커다란 변화들은 우리에게 먼 것으로만 남아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실현이 어려운 과제를 왜 공약화했냐는 지적으로부터는 자유로울 수 없다. 향후 정책토론회에서 제기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로드맵 마련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보인다.
“총학이 특정 종교를 지지하거나 억압해서는 안 됩니다.”
총학 선본 <다-함께>, 전도활동 가능 단체 규제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 중 일부
이번 <다-함께> 선본에 대해 일부에서 우려하는 지점이 ‘종교색’이다. 정 후보, 부 후보를 비롯해 선본 중 다수가 기독교 계열 단체 소속이라는 이유에서다. 후보와 선본원의 신자 여부와 그것이 어떤 종교인지가 정치적 정당성에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런 부분이 공약에까지 반영된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정책토론회 현장에서 <다-함께> 선본의 공약 중 “전도에도 예의가 필요해” 정책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이 정책은 교목실로부터 검증된 단체만 포교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교목실의 검증 기준, 또 검증된 단체라 하더라도 전도활동 자체가 학생들에게 주는 불편함 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다-함께>는 “총학이 특정 종교를 지지하거나 억압해서는 안 된다. 교목실의 기준은 종교를 심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항의로 인해 내규를 지정하고, 1년 이상 연세대 학생들로 구성된 학생 활동을 한 단체를 인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총학이 직접 나서겠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도 이루어지고 있는 이러한 교목실의 활동에 대해 학생들이 알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라고 밝혔다.
<다-함께>의 답변을 통해 총학이 직접 나서겠다는 것이 아니며, 학생들의 알 권리를 위한 것이라는 점은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렇다면 굳이 공약으로 내걸 만한 사안이었는지는 의문이다. 또한, 해당 공약은 마치 총학이 전도 활동을 규제하겠다는 것처럼 읽힐 소지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유권자들의 우려가 있는 상황 속에서, 더욱 신중하게 공약을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는 아쉬움이 든다.
『연희관 015b』 부편집장 화영
transverso@daum.net
댓글 없음:
댓글 쓰기